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산호섬

앙클팍 박영주 x 앙티수 남성숙 선교사의 피지선교 이야기 The mission stories of Uncle Park and Aunty Su in the South Pacific Islands

박영주의 글

  • 산호섬
연재23 [광야의 만나]

연재23 [광야의 만나]

2021.04.04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3과 제목: 두 번째 돌판 (출34:1-4, 29-35)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금송아지 사건으로 십계명 돌판이 깨어진 후 모세는 하나님이 다시 만들어 준 두 번째 십계명 돌판과 성막 설계도를 가지고 시내산에서 내려왔다. 모세 얼굴의 광채로 사람들이 그와 대면하기를 꺼리자 그는 수건으로 자기 얼굴을 가렸다. ☞ 관찰 질문 1. 십계명 돌판이 깨진 후 다시 받게 되었을 때 십계명을 새기기 전에 하나님이 그 돌판을 모세에게 준비하게 한 이유는 무엇일까? 2. 왜 하나님은 같은 내용을 두 번 쓰셨을까? 단순히 모세가 첫 번째 돌판을 부쉈기 때문일까? 아니면 하나님의 특별한 의도가 있었을까? 3. 시내산에서 내려온 모세가 얼굴을 수건..
연재22 [광야의 만나]

연재22 [광야의 만나]

2021.04.02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2과 제목: 금송아지 (출24:12-18, 32:1-29)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모세는 여호와의 부르심을 받아 산에 올라 40일을 머물었고 십계명 두 돌판을 받았다. 산에서 내려와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광란의 춤판을 벌이는 현장을 목격하고 십계명 돌판을 던져 깨뜨렸다. 레위인들이 무작위로 백성들을 죽였고, 멸망의 위기에서 백성은 모세의 중보기도로 구원함을 받았다. ☞ 관찰 질문 1. 백성들이 송아지 형상의 신을 만들고 종교 제 의식을 행한 동기는 무엇일까? 또, 왜 송아지 형상을 택했을까? 2. 모세가 십계명 돌판을 깨뜨린 것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또, 그것이 부서졌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3...
연재21 [광야의 만나]

연재21 [광야의 만나]

2021.04.01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1과 제목: 십계명 (출20-23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여호와는 시내산에서 이스라엘의 왕이요 그들의 하나님으로 언약을 맺으며 통치 원리인 십계명과 율법을 주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성숙한 백성이 되는 덕목이었고 능력 있는 그의 나라 백성의 삶을 위한 준거準據였다. ☞ 관찰 질문 1. 당신은 십계명에 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2. 십계명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어떤 관계가 전제되는가? 3. 십계명 돌판은 왜 두 개일까? 그 내용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4. 하나님은 왜 신의 형상을 새기지 말라고 했을까? 5. 하나님이 우상숭배를 그렇게도 싫어하는 이유는 무엇일가? 6. 우상의 본질은 무엇이며, 내 안에 있는 우상..
연재20 [광야의 만나]

연재20 [광야의 만나]

2021.03.30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0과 제목: 시내산 언약 (출19:3-8, 24:1-11)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구원해 내신 여호와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그의 백성이 되겠다는 언약식을 시내산에서 거행했다. 모세는 온 회중 앞에 언약서를 낭독했고 백성은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하겠다고 피를 뿌리며 서약했다.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피의 언약을 세웠다. ☞ 관찰 질문 1.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맺은 언약의 내용은 무엇인가? 2. 언약식에서 피를 뿌리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모든 법과 말씀을 준행하겠다고 피로써 맹세했는데 그것을 잘 지켰을까? 3. 희생제물을 불살라 번제로 드리는 것과 화목제물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재19 [광야의 만나]

연재19 [광야의 만나]

2021.03.29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9과 제목: 시내산 강림 (출19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2개월 만에 시내산에 도착하여 장막을 치고 한동안 정착할 준비를 했다. 모세는 산에 올라 여호와의 말씀을 들었고 내려와 백성들에게 전달했다. 여호와는 시내산에 강림을 예고했고 사흘 후 온 백성의 목전에서 불 가운데 강림했다. ☞ 관찰 질문 1. 모세가 히브리 백성과 함께 시내산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말씀이 성취되었다. 우리에게 반드시 성취될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인가? 2. 여호와가 시내산에 강림할 때 어떤 현상들이 나타났는가? 3. 여호와가 시내산에 강림한 사실이 함축하는 바는 무엇일까? 4. 왜 여호와는 빽빽한 짙은 구름 속에서 임재하고..
연재18 [광야의 만나]

연재18 [광야의 만나]

2021.03.28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8과 제목: 르비딤 (출17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르비딤에서 이스라엘은 마실 물이 없다고 모세를 원망했다. 그가 지팡이로 반석을 치자 물이 나왔다. 그때 광야의 도적 떼 아말렉이 공격해 왔다. 전쟁의 승패는 지팡이를 든 모세 손에 좌우되었다. 그들은 승리의 단을 쌓고 여호와 닛시라 불렀다. ☞ 관찰 질문 1. 르비딤에서 백성이 모세를 죽이려고 한 것은 무엇 때문이었는가? 모세는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 2. 과거 하나님 체험 간증이 왜 현재의 삶에 기능하지 못할까? 3. 반석이 예수 그리스도 유비(고전10:4)라면 이 사건을 어떻게 볼 수 있는가? 4. 하나님은 왜 직접 아말렉을 멸하지 않고 백성들 스스로 전쟁에 참..
연재17 [광야의 만나]

연재17 [광야의 만나]

2021.03.27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7과 제목: 신 광야 (출16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신 광야를 지날 때 이스라엘 백성은 먹을 것이 없다고 불평과 원망을 늘어놓았다. 그런데도 하나님은 아침마다 꿀 섞은 과자 같은 만나를 이슬처럼 내려 주었다. 저녁이면 메추라기 떼를 진영 주위에 떨어뜨려 고기를 먹게 하였다. ☞ 관찰 질문 1. 이스라엘 백성들은 무엇 때문에 원망과 불평을 하였는가? 2. 이스라엘은 광야에서 먹거리를 어떻게 얻었는가? 3. 왜 하나님은 만나를 매일 아침 거두게 하셨을까? 4. 안식일 전날은 만나를 두 배로 거두게 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5. 만나와 메추라기 사건으로 보여주시는 하나님의 자기 계시는 무엇인가? 6. 아침마다 이슬처럼 내리는 만..
연재16 [광야의 만나]

연재16 [광야의 만나]

2021.03.26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6과 제목: 마라 (출15:22-27)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홍해의 기적을 체험하고 춤추며 찬양했던 백성이 수르광야에 들어섰다. 사흘을 걸었으나 물을 얻지 못하여 원망이 터져 나왔다. 마라에 도착하여 물웅덩이를 발견했으나 너무 써서 마실 수가 없었다. 모세가 나뭇가지를 그 못에 던져 넣자 쓴 물이 단물로 변하여 사람들이 다투어 그 물을 마셨다. ☞ 관찰 질문 1.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넌 후 지나간 곳은 어디인가? 2. 홍해의 감격이 사라진 것은 얼마 만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사흘 동안 광야 길을 걸었던 백성들이 물웅덩이를 발견한 곳은 어디인가? 4. 모세는 어떻게 쓴 물을 단물로 만들었는가? 5. 감격의 홍해..
연재15 [광야의 만나]

연재15 [광야의 만나]

2021.03.24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5과 제목: 홍해 (출13:17-15:21)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히브리 노예들이 떠나도 좋다고 허락했던 이집트 왕은 마음을 바꾸어 군사를 이끌고 추격해왔다. 공포에 떨던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의 지팡이를 통해 홍해가 갈라지는 하나님의 기적을 체험했다. 백성은 바다를 건넜고 뒤쫓던 파라오의 군사들은 수장되었다. ☞ 관찰 질문 1. 왜 이스라엘은 가나안으로 가는 지름길을 택하지 않았을까? 2.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이동하는 동안 무엇으로 그들을 인도하였는가? 3. 홍해 앞에서 곤경에 처했을 때 백성들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4. 모세는 공포에 떠는 백성들에게 어떤 말로 격려했는가? 5. 바다가 갈라져 바닥이 드러나고 물 벽을 만든 ..
연재14 [광야의 만나]

연재14 [광야의 만나]

2021.03.24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4과 제목: 열 재앙 (출7-12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하나님 나라 모형으로 만들기 위해 이집트에서 불러내려고 했다. 이집트 왕은 노예로 부리던 그들을 놓아주려고 하지 않았다. 하나님은 모세를 세워 창조주의 권능을 드러냈다. 이집트인들은 그들이 의지하던 신들의 무능을 목격했고 파라오는 결국 굴복했다. ☞ 관찰 질문 1. 모세를 통해 이집트에 내린 열 가지 재앙은 어떤 것들이었는가? 열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2. 파라오가 계속 약속을 번복한 그 완악(강팍)함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여호와께서 왕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셨다는 표현의 의미는 무엇인가? 3. 천재지변 속에 창조주의 메시지가 ..
연재13 [광야의 만나]

연재13 [광야의 만나]

2021.03.22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3과 제목: 모세의 하프타임 (출3-4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미디안 광야에서 모세의 양치기 시절은 그의 인생 하프타임이었다. 하나님은 떨기나무 불꽃 가운데서 그를 불렀다. 이스라엘을 구원하고 함께하며 인도하실 ‘여호와’로 자기를 계시했다. 사명자로서 시내산에서 이집트로 돌아가는 도중에 모세는 죽음과 사투를 벌였다. 십보라는 직감으로 그 원인을 깨닫고 그를 위해 아들의 할례를 시행했다. ☞ 관찰 질문 1. 시내산에서 모세가 신의 음성을 들을 때 어떤 체험을 했는가? 떨기나무와 불꽃과 신을 벗는다는 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2. 하나님이 모세를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불렀을 때 모세의 반응은? 모세가 사명 감당하기 어렵다고..
연재12 [광야의 만나]

연재12 [광야의 만나]

2021.03.21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12과 제목: 에덴동산 (창1-2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하나님은 그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만드시고 에덴동산을 관리하게 하셨다. 에덴에 많은 과일나무가 있어 열매가 풍성했다. 그중에 선악과나무 열매만은 먹지 말라고 하나님이 인간에게 법을 세우셨다. ☞ 관찰 질문 1. 세계지도에서 에덴동산으로 추정되는 곳은 어디인가? 에덴동산에 흘러내린 네 강 중 현존하는 두 강의 이름은 무엇인가? (2:14) 2. 인간(아담)은 어떻게 창조되었기에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는가? (1:26-27) 3. 창조주가 인간을 특별하게 만든 목적은 무엇일까? (1:26-28) 4. 인간에게 내린 창조주의 명령은 무엇인가?(1:28) 그 명령의 의미를 어떻..
  • 최신
    • 1
    • 2
    • 3
    • 4
    • 5
    • 6
    • 7
    • 8
  • 다음

정보

산호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 산호섬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방명록
  • 태그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73)
    • 피지선교통신 (54)
    • 박영주의 글 (89)
    • 수산나의 글 (28)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 공지 - Coming Soon

아카이브

태그

  • 선교통신
  • 사복음서
  • 저서
  • 성경공부
  • 박영주
  • 큰 그림 성경 해석
  • 피지선교
  • 모세오경

나의 외부 링크

  • 피지선교블로그 Ver.2
  • 피지선교블로그 Ver.1

정보

Fiji Gospel의 산호섬

산호섬

Fiji Gospel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Fiji Gospel.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