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산호섬

앙클팍 박영주 x 앙티수 남성숙 선교사의 피지선교 이야기 The mission stories of Uncle Park and Aunty Su in the South Pacific Islands

저서

  • 산호섬
연재32 [광야의 만나]

연재32 [광야의 만나]

2021.04.09
박영주의 사복음서 스토리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책과 짝을 이루는 큰 그림 성경 해석과 인사이트(insight) 제32과 제목: 광야 생활 38년 (신8:1-11, 참고/창,출,레,민)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은 광야에서 40년을 지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하는 그들과도 하나님은 함께했다. 1세대가 죽고 2세대로 세대교체 되는 그 오랜 기간에 그들의 의복이 해어지지 않았고 발이 부르트지 않았다. 모세는 책을 쓰고 가르치는 일에 주력했다. ☞ 관찰 질문 1.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하고 38년 동안 광야를 배회하며 살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오랫동안 광야에 살면서 이스라엘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들의 소원은 무엇이었을까? 2. 광야에서 긴 세월 동안 모세는 어떤 일에 힘..
연재31 [광야의 만나]

연재31 [광야의 만나]

2021.04.08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31과 제목: 고라당의 반역 (민16-17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이 38년간 광야에 사는 중에 고라와 추종자들이 모세와 아론에게 반기를 들었다. 그들은 향로를 들고 회막문 앞에서 여호와의 판결을 기다렸다. 불이 나와 그들을 태웠다. 땅이 갈라져 남은 자들을 삼켰다. 이에 원성을 높이던 회중이 역병으로 쓰러졌다. 모세가 열두 족장의 지팡이를 회막 안에 두었더니 이튿날 아론의 지팡이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었다. ☞ 관찰 질문 1. 고라당의 반역에 동참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2. 그들의 명분과 속내는 무엇이었는가? (민16:3, 13-14) 3. 고라당에 대한 여호와의 판단(재판)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4. 향로에서 불이..
연재30 [광야의 만나]

연재30 [광야의 만나]

2021.04.08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30과 제목: 메뚜기 정체성 (민13-14장, 신1:34-46)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가나안 정탐보고를 듣고 많은 사람이 낙심했다. 절망으로 통곡하며 지도자들을 원망했다. 가나안 땅 입성을 포기하고 광야에 계속 살 것인지 이집트로 돌아갈 것인지 고민했다. 소수의 사람만 여호와를 의지하고 약속의 땅으로 가자고 했다. ☞ 관찰 질문 1. 가나안 땅 정탐보고를 들은 백성들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당신은 살면서 세상(문제)은 거대하고 나 자신은 ‘메뚜기 같다’라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 2. 여호수아와 갈렙은 삶의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어떻게 ‘밥/양식’으로 여길 수 있었을까? 3. 이스라엘을 다 멸하고 모세를 통해 다시 시작하겠다..
연재29 [광야의 만나]

연재29 [광야의 만나]

2021.04.08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9과 제목: 가나안 정탐 (민13장, 신1:19-33)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 백성이 가데스 바네아에 도착한 뒤 가나안 공격 준비를 재정비했다. 지도자들은 모세에게 그 땅 지형과 정황의 정찰을 위한 정탐꾼 파견을 건의했다. 여호와의 허락을 받아 파견된 12명이 40일 후 돌아와 보고했고 백성들의 여론이 둘로 갈라졌다. ☞ 관찰 질문 1. 가나안 땅을 탐지하도록 12명의 정탐꾼을 보낸 곳은 어디인가? 2. 정탐꾼들의 정탐(research) 목록 내용은 무엇인가? (민13:18-20) 3. ‘젖(우유)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부르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4. 부정적인 정탐보고를 한 10명은 현지인들과 자신들을 무엇으로 ..
연재28 [광야의 만나]

연재28 [광야의 만나]

2021.04.07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8과 제목: 하세롯 (민12:1-16)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미리암과 아론이 모세의 이방 결혼을 두고 지도자의 자격을 논하며 비방했다. 하나님은 모세가 세상에서 가장 온유한 자라며 그를 변호했다. 미리암은 나병에 걸려 진영 밖에 격리되었으나 모세의 중보기도로 치유되어 돌아왔다. ☞ 관찰 질문 1. 다베라와 기브롯 핫다아와를 떠난 후 숙영한 곳은 어디였는가? 또, 그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2. 미리암이 모세를 비방하는 일에 동조한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3. 모세에 대한 여호와의 평가는 어떠했는가? 4. 모세가 누구보다 온유한 자라는 하나님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 5. 미리암이 받은 벌은 무엇이며 왜 그 벌을 부끄러워했..
연재27 [광야의 만나]

연재27 [광야의 만나]

2021.04.07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7과 제목: 탐욕의 무덤 | 기브롯 핫다아와 (민11:4-35)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 백성은 만나를 매일 먹으면서도 고기가 없다고 불평했다. 하나님이 메추라기를 한 달 동안 떨어뜨려 주었다. 백성들은 쌓아놓고 먹었으나 그 탐식으로 하나님이 재앙을 내려 많은 사람이 죽었다. 홀로 짐을 지기가 벅차다고 하소연하는 모세에게 70인 장로를 붙여주었다. ☞ 관찰 질문 1. 다베라의 화재 사건 이후 백성들이 불평으로 울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내 손이 짧으냐”라고 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3. 모임에 참석하지도 않고 성령을 받은 장로는 누구인가? 4. 왜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70인 장로를 동역자로 붙여주..
연재26 [광야의 만나]

연재26 [광야의 만나]

2021.04.06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6과 제목: 다베라의 불 (민11:1-3)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 백성이 대열을 갖추고 시내산을 떠났다. 행군을 기꺼워하지 않은 백성이 이런저런 이유로 불평과 원망을 했다. 떠난 지 삼일, 바란 광야를 지날 때 숙영지 진영 끝에 불이 붙었다. 백성이 부르짖었고 모세의 기도로 불이 꺼졌다. ☞ 관찰 질문 1. 시내산을 출발한 이스라엘은 어떤 형태로 이동했는가? (민10:13-28) 2. 낮에 이스라엘의 이동을 돕고 인도한 것은 무엇이었나? (민10:12, 34) 3. 시내산을 떠나 이스라엘 백성이 지나간 처음 광야 이름은 무엇이었으며(민10:12) 가는 목적지는 어디였는가? 4. ‘불사름’이란 뜻의 다베라에서 무슨 일이..
연재25 [광야의 만나]

연재25 [광야의 만나]

2021.04.06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5과 제목: 시내산 출발 (민1-10장)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떠난 지 1년, 성막 건축을 완성하고 시내산 떠날 준비를 하며 유월절과 무교절을 지켰고 병력을 계수했다. 레위인은 별도로 계수하여 제사장을 돕도록 했다. 지파별로 행군 대열을 조직 편성했으며 나팔 신호체계를 세웠다. 마침내 시내산을 출발했다. 진을 갖춘 이동이었다. ☞ 관찰 질문 1. 이스라엘 백성이 성막을 완성하고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킨 장소는? 2.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을 향해 시내산을 떠날 때는 언제쯤인가? 3. 시내산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계수한 목적은 무엇이며, 총집계는? 인구조사에서 빠진 대상은 어떤 사람들인가? 4. 레위인들은 별도..
연재24 [광야의 만나]

연재24 [광야의 만나]

2021.04.05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4과 제목: 성막 (출35:4-9, 36:1-7, 40:1-17)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모세는 성막을 지으라는 하나님 말씀을 전했고 백성들은 필요한 재료를 기꺼이 헌납했으며 공사에 자원했다. 성막 울타리 안의 마당에는 번제단과 물두멍을, 성소에는 떡상, 금등잔, 분향단을 만들었고, 지성소에는 법궤와 속죄소, 그룹을 두었다. ☞ 관찰 질문 1. 성막의 용도는 무엇인가? 또, 조립식으로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 2. 백성들이 성막 건축자재를 넘치도록 헌납한 동기는 무엇일까? 성막 건축에 뛰어난 기술자 두 명은 누구인가? 3. 성막 세마포 울타리 안의 마당에는 무엇이 설치되어 있었는가? 성소와 지성소 안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4. ..
연재23 [광야의 만나]

연재23 [광야의 만나]

2021.04.04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3과 제목: 두 번째 돌판 (출34:1-4, 29-35)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금송아지 사건으로 십계명 돌판이 깨어진 후 모세는 하나님이 다시 만들어 준 두 번째 십계명 돌판과 성막 설계도를 가지고 시내산에서 내려왔다. 모세 얼굴의 광채로 사람들이 그와 대면하기를 꺼리자 그는 수건으로 자기 얼굴을 가렸다. ☞ 관찰 질문 1. 십계명 돌판이 깨진 후 다시 받게 되었을 때 십계명을 새기기 전에 하나님이 그 돌판을 모세에게 준비하게 한 이유는 무엇일까? 2. 왜 하나님은 같은 내용을 두 번 쓰셨을까? 단순히 모세가 첫 번째 돌판을 부쉈기 때문일까? 아니면 하나님의 특별한 의도가 있었을까? 3. 시내산에서 내려온 모세가 얼굴을 수건..
연재22 [광야의 만나]

연재22 [광야의 만나]

2021.04.02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2과 제목: 금송아지 (출24:12-18, 32:1-29)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모세는 여호와의 부르심을 받아 산에 올라 40일을 머물었고 십계명 두 돌판을 받았다. 산에서 내려와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광란의 춤판을 벌이는 현장을 목격하고 십계명 돌판을 던져 깨뜨렸다. 레위인들이 무작위로 백성들을 죽였고, 멸망의 위기에서 백성은 모세의 중보기도로 구원함을 받았다. ☞ 관찰 질문 1. 백성들이 송아지 형상의 신을 만들고 종교 제 의식을 행한 동기는 무엇일까? 또, 왜 송아지 형상을 택했을까? 2. 모세가 십계명 돌판을 깨뜨린 것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또, 그것이 부서졌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3...
연재20 [광야의 만나]

연재20 [광야의 만나]

2021.03.30
박영주의 「모세와 함께 시간여행」 책과 짝을 이루는 묵상 노트 제20과 제목: 시내산 언약 (출19:3-8, 24:1-11) 내가 붙이는 제목 : ☞ 본문 요약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구원해 내신 여호와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그의 백성이 되겠다는 언약식을 시내산에서 거행했다. 모세는 온 회중 앞에 언약서를 낭독했고 백성은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하겠다고 피를 뿌리며 서약했다.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며 피의 언약을 세웠다. ☞ 관찰 질문 1.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맺은 언약의 내용은 무엇인가? 2. 언약식에서 피를 뿌리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모든 법과 말씀을 준행하겠다고 피로써 맹세했는데 그것을 잘 지켰을까? 3. 희생제물을 불살라 번제로 드리는 것과 화목제물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최신
    • 1
    • 2
    • 3
  • 다음

정보

산호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산호섬

  • 산호섬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방명록
  • 태그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73)
    • 피지선교통신 (54)
    • 박영주의 글 (89)
    • 수산나의 글 (28)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 공지 - Coming Soon

아카이브

태그

  • 피지선교
  • 선교통신
  • 성경공부
  • 사복음서
  • 박영주
  • 저서
  • 큰 그림 성경 해석
  • 모세오경

나의 외부 링크

  • 피지선교블로그 Ver.2
  • 피지선교블로그 Ver.1

정보

Fiji Gospel의 산호섬

산호섬

Fiji Gospel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Fiji Gospel.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